OECD 국가별 국민 평균 연봉 기준 순위로 2025 최신 원화 환산 Ver입니다. 35개 OECD 국가별 평균 연봉과 연봉이 높은 이유와 낮은 국가는 왜 낮은지 이유도 살펴보았습니다.
OECD 국가별 평균 연봉 순위 (2025 최신, 원화 환산 Ver.)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하는 '세계 각국의 연봉'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특히 잘 사는 나라들이 모여 있는 OECD 회원국들 사이의 평균 연봉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위치도 가늠해 볼 수 있겠죠?
이번에는 OECD에서 25년 4월에 발표한 2023년 평균 연봉 데이터를 기준으로, 환율은 1달러 = 1,430원으로 환산해 원화 기준 순위를 정리했습니다. 이제 나라별 연봉 순위와 그 이유까지 하나씩 살펴보시죠!

OECD 국가별 평균 연봉 순위 (KRW 기준)
1위. 룩셈부르크 🇱🇺 약 1억 2,836만 원
작지만 강한 나라! 금융산업 중심지로 고임금 직종이 많고, 법인세 감면 혜택 등으로 글로벌 기업이 몰려 있어 평균 연봉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2. 아이슬란드 🇮🇸 – 약 1억 2,501만 원
복지와 노동환경이 뛰어난 북유럽 국가. 에너지 산업과 관광, 수산업 등이 중심이며 인구가 적고 고숙련 노동 비율이 높아 평균 연봉이 높게 나타납니다.
3. 스위스 🇨🇭 – 약 1억 1,916만 원
세계적인 금융과 제약, 기계산업 강국. 물가가 매우 높은 편이지만 그만큼 연봉 수준도 높습니다. 다국적 기업 본사가 많아 고소득자 비율이 큽니다.
4. 미국 🇺🇸 – 약 1억 1,456만 원
IT, 금융, 엔터, 제조 등 다양한 산업이 발전. 초고임금 직군이 많고, 자유로운 경쟁 시장 구조로 인해 연봉 격차는 크지만 평균은 매우 높습니다.
5. 벨기에 🇧🇪 – 약 1억 468만 원
유럽연합 중심 국가로 고급 기술직과 공공 서비스 부문이 안정적이며, 노동자 보호제도가 잘 되어 있습니다.
6. 노르웨이 🇳🇴 – 약 1억 293만 원
석유와 천연가스 산업이 경제의 큰 축을 이루며, 높은 세금과 복지제도로 인해 생활 수준과 연봉이 모두 높은 편입니다.
7. 오스트리아 🇦🇹 – 약 1억 1,768만 원
독일과의 긴밀한 무역 및 제조업, 의료·교육 인프라 강세로 안정적인 고소득 직종이 많습니다.
8. 네덜란드 🇳🇱 – 약 1억 365만 원
물류, 금융, 농업기술이 뛰어난 나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면서도 고생산성 산업 구조가 강점입니다.
9. 덴마크 🇩🇰 – 약 9,942만 원
높은 세금, 높은 복지의 대표 국가. 공공부문과 전문직 종사자 비중이 크고, 전반적인 삶의 질이 높아 연봉 수준도 상위권입니다.
10. 호주 🇦🇺 – 약 9,595만 원
천연자원 부국이며, 서비스 산업과 무역도 활발. 생활비는 높지만 그에 걸맞은 평균 연봉을 보입니다.
11. 🇨🇦 캐나다 – 약 9,468만 원
풍부한 자원, 안정된 복지 시스템 덕분에 평균 연봉도 탄탄합니다. 공공의료, 교육 등이 잘 갖춰져 있어 실질적인 삶의 질도 높은 편이에요. 특히 IT, 금융, 의료 등 고소득 직종이 많은 것도 영향이 있어요.
12. 🇩🇪 독일 약 9,397만 원
유럽 제조업의 중심답게 자동차, 기계, 전자 등 기술 기반의 산업이 발달해 있어요. 공대 강국으로 고학력 전문직의 비중이 높고, 고용 안정성도 좋아요.
13. 🇫🇷 프랑스 – 약 8,449만 원
패션과 문화의 나라 프랑스는 공공서비스와 문화산업이 발달해 있고, 유럽 내 고임금 국가 중 하나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높은 세금과 물가도 함께 고려해야 해요.
14. OECD 평균 – 약 8,327만 원
전 세계 OECD 회원국의 평균 연봉이에요. 이 정도면 ‘중간 이상’이라고 볼 수 있겠죠? 선진국 기준으로 볼 때 무난한 수준입니다.
15. 🇳🇿 뉴질랜드 – 약 8,308만 원
자연 친화적인 나라지만, IT, 농업, 관광산업도 강해요. 워라밸이 좋아서 삶의 질은 매우 높지만 물가가 꽤 높은 편이라 체감 소득은 다소 줄어들 수 있어요.
16. 🇸🇪 스웨덴 – 약 8,293만 원
복지천국 북유럽의 대표 국가답게 공공 서비스와 연봉 수준 모두 우수해요. IT·제약·기계 산업도 강하고, 사회적 안정성이 연봉에 반영돼 있어요.
17. 🇫🇮 핀란드 – 약 8,274만 원
산타클로스 나라로 유명하지만, 교육과 기술 강국이기도 해요. 노키아로 대표되는 기술 산업 기반 덕분에 연봉도 안정적입니다.
18. 🇬🇧 영국 – 약 8,239만 원
세계 금융 중심지 런던이 있는 영국은 금융, 미디어, 교육, 공공 부문에서 고소득 직군이 많습니다. 하지만 지역별 연봉 격차가 꽤 큰 편이에요.
19. 🇮🇪 아일랜드 – 약 8,123만 원
다국적 IT 기업들이 몰려 있는 나라!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본사가 있어 높은 연봉을 보장받을 수 있어요. 세금 혜택이 많아 기업들도 선호합니다.
20. 🇸🇮 슬로베니아 – 약 7,959만 원
동유럽 국가 중에서는 연봉이 꽤 높은 편이에요. 산업 구조가 안정적이고, 유럽 내 통합 경제 덕분에 성장세를 타고 있어요.
21. 🇪🇸 스페인 – 약 7,341만 원
정열의 나라지만 실업률이 다소 높아 평균 연봉은 중간 수준이에요. 관광과 서비스업 비중이 크고, 제조업은 다소 약한 편입니다.
22. 🇮🇱 이스라엘 – 약 7,288만 원
작은 나라지만 첨단 기술(IT, 보안, 의료)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국이에요. 평균 연봉은 높은 편이지만, 물가도 만만치 않다는 점!
23. 🇰🇷 대한민국 – 약 7,016만 원
한국은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연봉 격차가 큽니다. IT, 반도체, 자동차 분야는 높은 수준이지만 야근 문화와 워라밸 문제도 연봉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어요.
24. 🇮🇹 이탈리아 – 약 6,989만 원
패션과 관광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지만 청년 실업률과 경기 침체가 연봉 상승을 막고 있어요. 북부와 남부 간 소득 격차도 큽니다.
25. 🇱🇹 리투아니아 – 약 6,987만 원
빠르게 성장 중인 발트 3국 중 하나로, IT 아웃소싱 산업과 EU 지원으로 연봉이 상승세입니다. 하지만 아직 평균은 OECD 중하위권이에요.
26. 🇯🇵 일본 – 약 6,691만 원
선진국 이미지와 달리 디플레이션, 장기불황, 고령화로 인해 연봉 상승세가 정체돼 있어요. 여전히 대기업과 공무원 중심의 안정적 구조를 유지 중.
27. 🇵🇱 폴란드 – 약 5,870만 원
동유럽의 제조 허브로 성장 중이지만, 서유럽에 비해 생활비는 낮아 실질 소득은 괜찮은 편입니다.
28. 🇱🇻 라트비아 – 약 5,539만 원
발트해 연안 소국으로 IT와 금융의 유입이 증가하며 연봉이 조금씩 오르고 있어요.
29. 🇵🇹 포르투갈 – 약 5,362만 원
생활비가 저렴하고 안정적인 나라지만, 고임금 산업이 적고 청년 실업률이 높아 연봉은 낮은 편입니다.
30. 🇪🇪 에스토니아 – 약 5,348만 원
IT 강국답게 디지털 인프라는 잘 갖춰졌지만, 아직 산업 전반의 연봉 수준은 낮은 편이에요. 그래도 꾸준히 성장 중!

관련 글
꽁냥꽁냥 커플 100문 100답 마법의 질문 너의 취향은?
노트북 팬 소음이 큰 경우 무소음으로 해결하는 2가지 방법
상식으로 많이 검색하는 영어 약어 줄임말 40가지 모음
31. 🇨🇿 체코 – 약 5,343만 원
제조업 기반이 강하지만 서유럽보다는 평균 연봉이 낮아요. 외국 기업 유치가 활발해 점점 상승 중입니다.
32. 🇸🇰 슬로바키아 – 약 4,537만 원
체코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중부 유럽 국가로, 평균 연봉은 낮지만 외국 자본 유입이 계속 늘고 있어요.
33. 🇭🇺 헝가리 – 약 4,534만 원
IT와 전자 산업 중심으로 성장 중이지만, 저임금 일자리 비중이 커서 전체 평균 연봉은 낮아요.
34. 🇬🇷 그리스 – 약 4,324만 원
재정 위기 후유증으로 아직 회복 중인 그리스. 공공부문 비중이 크고 민간 기업의 성장률이 낮아 연봉이 높지 않아요.
35. 🇲🇽 멕시코 – 약 2,928만 원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평균 연봉입니다. 제조업 기반이 크고 비공식 고용 비율이 높아 평균이 낮게 집계되죠. 다만 경제는 빠르게 성장 중이에요!
연봉이 높은 나라들은 기술 산업 발달, 복지 제도, 고용 안정성 등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고, 낮은 나라들은 산업 구조 한계, 경제 침체, 비공식 고용 비중이 크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이 수치는 '평균'이므로 고임금자에 의해 왜곡될 수 있으며, 실제 체감 소득인 '가처분 소득'이나 '생활비'까지 함께 고려해야 삶의 질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출처 OECD (2023 평균 연봉 USD) 환율 기준 1 USD = 1,430 KRW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우리나라의 위치는 중위권이지만, 산업 구조 개편과 워라밸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앞으로 더 높은 순위를 기대해 볼 수 있겠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전기세 폭탄 방지하는 10가지 꿀팁 (절약 효과와 비용 계산) (0) | 2025.05.06 |
---|---|
가깝고도 먼 나라, 한국과 일본의 흥미로운 문화 차이점 10가지 비교 (0) | 2025.04.29 |
삼성 노트북 모델 별 배터리, 액정, 키보드 교체 수리 비용 모음 (0) | 2025.04.21 |
인스타그램 계정 비활성화 방법과 기간, 복구, FAQ 총정리 (0) | 2025.04.11 |
LG 씽큐(ThinQ)앱 제품 등록 실패 오류 코드별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4.07 |
댓글